더스쿠프 이슈 아카이브 
일자리 수 20대 이하만 감소
인구구조 변화 때문만은 아냐
일자리 선택에 신중한 청년층
노동환경 개선해 선택지 줘야
역대 정부 일자리 대책 실패 
현 정부 역시 다른 대책 없어

20대 이하에서만 일자리가 줄고, 전 연령대에서 일자리 수가 늘었다.[사진=뉴시스]
20대 이하에서만 일자리가 줄고, 전 연령대에서 일자리 수가 늘었다.[사진=뉴시스]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늘었다. 반길 일이지만, 유독 20대 이하에서만 일자리가 줄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통계청이 5월 26일 발표한 ‘2022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45만6000개였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49만1000개 늘었다. 2018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대치다.

이 통계에서 말하는 ‘일자리’는 ‘취업자’와 다른 개념이다. 예컨대 어떤 취업자가 주중에는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 학원 강사를 한다면 취업자는 1명이지만 일자리는 복수로 계산된다.

■ 1년 전과 비교해보니… = 1년 전과 같은 일자리에서 같은 노동자가 일하는 경우인 ‘지속 일자리’는 1417만6000개(69.3%), 퇴직이나 이직으로 인한 ‘대체 일자리’는 356만4000개(17.4%),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인한 ‘신규 일자리’는 271만7000개(13.3%)였다.

전년 같은 기간의 ‘지속 일자리’는 1380만6000개(69.2%), ‘대체 일자리’는 333만3000개(16.7%), ‘신규 일자리’는 282만6000개(14.2%)였다. ‘지속 일자리’와 ‘대체 일자리’는 늘었지만 ‘신규 일자리’는 줄어든 셈이다. 

■ 산업별‧성별 비교 = 산업별(대분류)로 보면 주로 건설업(12만1000개), 보건·사회복지(7만8000개), 제조업(7만2000개) 분야에서 일자리가 증가했다. 반면 공공행정(3만1000개)에선 일자리가 감소했다.

윤석열 정부가 청년일자리를 늘릴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사진=뉴시스]
윤석열 정부가 청년일자리를 늘릴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사진=뉴시스]

건설업(중분류)에선 전문직별 공사업(11만4000개)과 종합건설업(7000개)이,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선 사회복지 서비스업(4만5000개)과 보건업(3만3000개)이 모두 늘었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에선 전자통신(1만8000개)과 기계장비(1만3000개) 등에서 증가했지만, 섬유제품(3000개)과 고무·플라스틱(2000개)에서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남자는 12만3000개, 여자는 25만3000개 증가했다. 남자의 경우 정보통신(4만개), 제조업(3만5000개), 전문·과학·기술(3만2000개) 산업이 일자리 증가를 견인했다. 여자는 보건·사회복지(11만4000개), 교육(5만1000개), 도소매(3만5000개) 산업에서 주로 늘었다.

■ 연령대별 일자리의 함의 = 눈여겨볼 점은 연령대별 일자리 증감이다. 60대 이상(28만4000개), 50대(14만7000개), 40대(6만3000개), 30대(3만3000개)에서는 모두 일자리가 늘었다. 하지만 20대 이하(3만6000개)에서는 유독 일자리가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와 30대 일자리 수는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오가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려면 통계가 좀 더 쌓여야 한다”면서도 “20대 이하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한 것과 소매업에서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틀린 말은 아니다. 인구가 줄면 절대적인 일자리 수도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에선 다른 분석과 비판도 나온다. 사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대 이하의 일자리 수를 규정하는 건 ‘신규 일자리’다.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든 상황에선 ‘신규 일자리’는 크게 늘기 어렵다. 이럴 때 정부가 정책적으로라도 도움을 줘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다는 게 비판의 골자다. 

김성희 고려대(노동대학원) 교수는 “역대 정부가 청년일자리 정책들을 그렇게 내놨는데도 제대로 작동하는 게 없다”면서 “그런데도 현 정부는 다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물론 청년들이 일자리 선택에 신중한 측면도 있는데, 그건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고, 더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라면서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라도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해소, 중소기업 노동환경 개선 등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