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안 임시주총서 가결

▲ 7월 17일 삼성물산 임시 주주총회에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안이 가결됐다. [사진=뉴시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안이 7월 17일 서울 양재동 삼성물산 임시 주주총회에서 우여곡절 끝에 통과됐다. 합병안은 이날 의결권 있는 투표참여 주식수 1억3235만5800주 중 69.53%에 해당하는 9202만3660주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이로써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법인이 9월1일자로 출범하게 된다. 사실상 그룹의 지주회사가 되는 이른바 ‘뉴 삼성물산’은 의식주휴衣食住休·바이오 선도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됐다.

이번 엘리엇 사태는 우리 사회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특히 해외 투기자본에는 한국 시장이 예전처럼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선례를 남기게 됐다. 그동안 우리 자본시장은 ‘투기자본의 놀이터’로 일컬어질 정도로 해외 투기자본의 침투 때마다 맥없이 당하며 수조원에 이르는 국부를 유출시킨 뼈아픈 경험을 갖고 있다.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 소버린 펀드의 SK그룹 공격, 칼 아이칸 펀드의 KT&G 공격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번의 사례는 지금과는 다른 결과를 만들어냈다. 이날 표 대결도 당초 예상됐던 박빙 결과가 아닌 과반수 이상의 합병 찬성으로 삼성측의 ‘압승壓勝’으로 끝났다.

이번 사태는 국내 대기업들에도 큰 충격과 과제를 남겼다. 대기업의 부당한 경영권 승계나 지배주주의 이익을 위한 행위에 대해선 시장이 철저하게 검증하고 격렬하게 거부하는 움직임을 확인한 자리가 됐기 때문이다. 투기자본의 공격도 문제지만 빌미를 제공하는 허술한 지배구조가 더 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이번 사태를 한국기업의 고질적인 병폐인 ‘기업지배구조 문제’를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삼성그룹도 엘리엇의 공격을 받고 나서야 배당성향을 30%로 높이고 거버넌스위원회를 신설하는 등의 주주친화 정책에 나서기도 했다.  차등의결권제, 포이즌필 등 경영권 방어 수단을 강화하자는 설득력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재벌들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친화적인 정책 노력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제도는 재벌들을 위한 특혜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김은경 더스쿠프 기자 kekis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