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네꼭지로 본 세계
中이 택한 반도체 우회 수입로
집 없는 미국인 역대 최대
AI, 금융의 새로운 위협인가
고개 숙인 테슬라 오토파일럿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수정하기 위해 200만대가 넘는 차를 리콜하기로 결정했다.[사진=뉴시스]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수정하기 위해 200만대가 넘는 차를 리콜하기로 결정했다.[사진=뉴시스]

[고개 숙인 테슬라 오토파일럿]
파격 리콜에도 신뢰 ‘급제동’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대규모 리콜을 실시한다. 테슬라를 대표하는 주행보조 기능 ‘오토파일럿’의 시스템 결함을 고치기 위해서다. 리콜 대상 차량은 테슬라가 2012년부터 올해까지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전부다. 대수만 해도 200만대가 넘는다. 그야말로 파격적인 리콜 결정인데도 우려가 적지 않다. 테슬라가 안전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할 수도 있어서다. 

18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자동차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리콜 조치가 오토파일럿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리콜 조치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오토파일럿의 오용 가능성을 막을 충분한 장치를 테슬라가 마련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린 후 내려졌다. NHTSA가 1000여건의 오토파일럿의 오작동 사건을 조사한 끝에 나온 결과였다. 테슬라는 “경고 기능을 추가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겠다”며 리콜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경고 기능의 추가만으론 사고를 예방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토파일럿에 더 강한 규제를 해야 한다는 거다. 자동차 기술을 연구하는 매슈 완슬리 뉴욕 카도조 법학대학원 교수는 “교차 교통이 이뤄지는 도로에선 오토파일럿을 사용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면서 “이 문제 탓에 교차로에서 충돌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미 교통안전위원회(NTSB)의 제니퍼 호멘디 위원장도 “테슬라가 뭔가 행동을 하는 건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그런 변화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자발적인 리콜을 하면 어떻게 확인할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리처드 블루멘털 연방 상원의원은 “테슬라의 자체 집행에 의존하는 건 문제가 있다”면서 “자동차가 장애물 또는 다른 차량에 부딪히거나 도로를 벗어날 때는 회사 측의 자발적인 준수 이상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중국이 말레이시아 기업에 반도체 조립 업무를 외주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중국이 말레이시아 기업에 반도체 조립 업무를 외주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美 반도체 통제 피하려는 中]
우회로 ‘말련’ 통해 반도체 수입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의 반도체 규제를 피해 말레이시아 기업에 외주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일 동망東網과 자유재경自由財經 등 홍콩 언론들은 중국 반도체 업계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최첨단 반도체 조립을 말레이시아 업체에 맡겨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제한조치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반도체의 대중 수출을 제한하자, 중국은 외국에 있는 기업에 반도체 조립을 맡김으로써 우회적으로 반도체를 수입하고 있다는 얘기다.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이 외주를 맡기는 업무는 대부분 영상처리반도체(GPU) 조립 분야로, 반도체 웨이퍼 제조는 포함돼 있지 않다.

현재 미국은 최첨단 GPU와 최신 반도체 제조장비를 중국에 판매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으며, 규제를 점점 더 강화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은 지난해 10월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GPU인 A100과 H100의 중국 수출을 금지한 데 이어 올해 10월에는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버전인 A800과 H800의 수출을 막았다. 중국이 AI 기술을 군사적 용도로 쓰는 걸 막겠다는 게 이유다. 


이 때문에 중국의 소규모 반도체 설계회사들은 미국의 수출규제에서 벗어나 있는 고급 정밀기술마저 통제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말레이시아 등 외국에 외주를 늘리는 것도 이런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다. 현재 말레이시아는 세계 반도체 조립과 제조, 테스트 시장의 13%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美 노숙자 급증]
거리로 나앉는 사람들 ‘최대’ 


코로나19 지원금이 사라지자 미국 노숙자 증가폭이 역대 최대치인 12%를 기록했다.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에 따르면, 올 1월 기준 미국 노숙자 수는 65만3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12% 늘어났다. 2007년 집계 이후 연간 최대치이자 최대 증가폭이다. 

2022년 미국 홈리스 증가율은 12%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2022년 미국 홈리스 증가율은 12%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마르시아 퍼지 HUD 장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노숙자 급증한 이번 데이터는 사람들이 노숙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방지책과 빠르게 노숙에서 벗어나도록 만드는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걸 강조한다”고 말했다. 

미국 노숙자는 2010년 63만7000명에서 2017년 55만4000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변곡점은 팬데믹이었다. 코로나19가 터진 2020년 노숙자가 58만명으로 늘더니 지난 1월엔 그 숫자가 65만3000여명으로 더 증가했다. 이중 상당수는 ‘처음으로 길거리’에 나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HUD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의 노숙자 증가는 코로나19 국면에서 펼쳐졌던 원조 프로그램이 사라졌기 때문에 발생했다. 일부 전문가는 주택 부족, 임대료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매매한 평균 주택가격은 2020년 1분기 38만3000달러에서 2022년 4분기 55만6200달러까지 45.2% 치솟았다. 제프 올리브 미국 노숙자 협회 회장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감당할 만한 비용의 주택이 부족한 게 노숙자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美, 금융당국의 경고]
금융의 새로운 취약점 AI

미국 금융당국이 AI(인공지능)가 금융시스템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 CNN비즈니스는 14일(현지시간) 미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가 확산하는 AI를 금융시스템의 새로운 취약점으로 공식 분류했다고 보도했다.

FSOC는 미국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2008년 설립한 기구다. 미 재무부‧연방준비제도(연준‧Fed)‧증권거래위원회(SEC)‧통화감사관(OCC)‧소비자금융보호국(CFPB) 등이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FSOC는 이날 “AI는 혁신과 효율성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면서도 “금융 서비스에서 AI를 사용하려면 잠재적 위험 관리를 위해 신중한 사용과 감독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미 금융당국이 AI를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분류했다.[사진=연합뉴스]
미 금융당국이 AI를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분류했다.[사진=연합뉴스]

구체적으로 FSOC는 AI가 사이버 보안, 규정 준수,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 특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모델을 향해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금융회사가 데이터 보안, 소비자 보호, 개인 정보 보호 부문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생성형 AI가 데이터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 정보를 생성하는 ‘할루시네이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FSOC 수장을 맡고 있는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시장 참여자의 AI 사용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 “AI가 정교해질수록 정확하게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설명하기 어려워진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런 ‘설명 가능성 부족’ 현상 때문에 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게 쉽지 않아질 것”이라며 “금융시장 감시 목록에 AI를 추가해 면밀하게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FSOC는 AI를 규제 대상으로 정하지는 않았다. 기존 규제를 통해 AI가 지닌 잠재적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