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공병훈의 맥락
사이퍼펑크와 블록체인 ❶
1970~80년대 냉전시대
대안으로 신자유주의 등장
권력과 자본에 맞서 탄생한
사이퍼펑크와 그 추종세력

# 인터넷은 사용자들 간의 평등한 동료적 협업을 통해 만들어가는 유토피아를 향하고 있는가. 아니면 빅 브라더(big brother)가 개인의 생활과 삶을 세밀하게 감시하고 통제ㆍ통치하는 디스토피아를 예정하고 있는가.
 

#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우리의 사회적 활동과 개인의 모든 영역에 결합하면서 우리는 낙관도 비관도 확신할 수 없는 혼돈의 경계를 걷고 있다. 공병훈의 맥락, 사이퍼펑크와 블록체인 첫번째 편이다.

사이퍼펑크를 이해하려면 1970~1980년대 시대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이퍼펑크를 이해하려면 1970~1980년대 시대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18년 혼돈 속에서 나타난 어려운 개념 하나가 전세계를 뒤흔들었다.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블록(block)과 체인(chain)의 합성어로, 위ㆍ변조 걱정이 없는 전자장부를 뜻한다. 블록체인 기술에서는 서로의 거래 내역이 블록에 담기고 이 블록들이 체인처럼 연결된다.

이런 블록체인의 역사는 1980년대 사이퍼펑크(Cypherpunk)에서 출발했다. 사이퍼펑크를 이해하려면 먼저 세계 전체가 뒤흔들리듯 격렬하고 치열했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상황을 알아야 한다. 

1970년대에는 사회주의권과 자본주의권의 냉전체제가 절정에 오르면서 세계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몇가지 큰 사건들이 벌어졌다. 자본주의 세계의 맹주로 자처하던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처참하게 패배했다.

제4차 중동전쟁이 아랍권의 패배로 끝난 이후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아랍권 국가인 리비아ㆍ이라크ㆍ이란ㆍ이집트ㆍ시리아·튀니지가 손잡고 석유수출을 줄이는 동시에 원유 가격을 인상했다. 1973년과 1978년에 걸친 석유 파동은 세계 경제를 충격에 빠뜨렸다. 1979년엔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이 일어났다. 

변화하는 흐름에 대항하기 위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걸쳐 영국의 대처(Margaret Hilda Thatcher)와 미국의 레이건 정권이 주도하던 신자유주의(Neo-Lib eralism)가 세계질서를 재편하기 시작했다. 신자유주의는 수정자본주의를 채택해 소득평준화와 완전고용 등을 지향하는 케인스 이론을 비판했다.

자유시장과 규제완화, 민영화와 재산권 중시, 자본의 세계화와 시장개방, 사회복지 축소는 신자유주의의 대표적 슬로건이었다. 당연히 신자유주의는 피도 눈물도 없는 무한경쟁을 초래하고, 분배의 악화를 가져오고, 선진국의 다국적기업들에만 혜택을 준다는 비판에 휩싸였다. 

사이퍼펑크는 다국적 기업과 정부 권력의 대규모 감시와 검열에 맞서 자유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종의 ‘암호기술’을 활용하는 활동가들 집단을 말한다. 사이퍼펑크들은 뚜렷한 철학과 관점을 지니고 있다. 1980년대부터 통신과 인터넷이 확산하면서 자유로운 사이버 공간과 연결망은 세계 곳곳에서 혁명의 도화선 역할을 한다.

이런 흐름에서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다국적기업과 정치권력의 탄압ㆍ통제기술도 덩달아 고도화했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대규모 감시 프로그램도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었다. 

사실 우리가 몸담고 있는 사이버 공간은 다국적 정보질서(multinational informa tion order) 체제와 다국적기업의 헤게모니 경연장이기도 하다. 다국적기업에 정보는 자신들의 활동과 전략을 위한 필수불가결 요소다. 이에 따라 다국적기업은 정보 자체를 상품이나 이윤 추구의 대상으로 보고 정보의 완전한 통제를 추구하려고 한다.

다시 사이퍼펑크의 기원으로 돌아와보자. 사이퍼펑크라는 말은 사이버펑크(cyberpunk)라는 개념에서 시작됐다. 이는 윌리엄 깁슨(William Ford Gibson)의 소설 ‘뉴로맨서(Neuromancerㆍ1984)’가 파생시킨 새로운 공상과학 장르를 뜻한다.

새로운 대항문화 운동, 그리고 이 운동에 참여하거나 동조하는 집단이나 개인을 가리킨다. 이런 활동은 깁슨과 친구 사이인 브루스 스털링(Bruce Sterling)이 운영하는 뉴스레터그룹인 ‘Cheap Truth’를 중심으로 이미 벌어지고 있었다(alt.cyberpunk, 1998). 

물론 이때까지는 사이버펑크라는 용어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소설 ‘뉴로맨서’에는 케이스라는 이름의 ‘컴퓨터 카우보이’, 이른바 해커가 등장한다. 그는 해킹을 하던 과정에서 신경 체계를 다친다. 더 이상 사이버 공간에 접속할 수 없게 된 그는 일본 지바현千葉 치외법권 지역에서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아미티지라는 의문의 사업가가 접근해 그에게 옛 힘을 되찾게 해주겠다고 제안한다. 

이 소설에서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란 용어가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1980년대 이후 등장한 과학소설의 한 장르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펑크(punk)란 기존 단어에 사이버를 합성한 신조어인 사이버펑크(cyberpunk)는 사이버시대의 저항문화 또는 그 활동가들을 상징하기 시작했다.

[※참고: ‘펑크’는 보잘것없고 가치 없는 사람, 젊은 불량배, 애송이, 허튼소리 등의 의미를 지닌 속어다. 브루스 베스키의 단편 「사이버펑크(1980년)」에서 이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깁슨에게 사이버스페이스는 일종의 가상현실이다.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해 접근하는 공간, 이를테면 컴퓨터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에 의해 구축된 가상 공간을 깁슨은 매트릭스(matrix)라 불렀다.

현재 사이버스페이스는 “전 지구적인 네트워크로 구축된, 컴퓨터에 의해 유지되고, 컴퓨터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는, 그리고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다차원적인 인공현실 또는 가상현실”로 정의된다(Benedikt, 1991, p.123). 이 세계관은 릴리 워쇼스키와 라나 워쇼스키 감독의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에 잘 반영돼 있다. 

사이버펑크 장르는 윌리엄 깁슨의 소설 「뉴로맨서(Neuromancer)」에서 파생했다.[일러스트 | 베지연구소]
사이버펑크 장르는 윌리엄 깁슨의 소설 「뉴로맨서(Neuromancer)」에서 파생했다.[일러스트 | 베지연구소]

이런 맥락에서 사이버펑크는 통제와 권력의 상징이자 다국적기업과 손잡은 정부 역할과 행위를 거부했다. 이들은 “중앙집권화한 정부나 기업이 컴퓨터, 모뎀, 정보 등을 활용해 개인을 간섭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옹호했다.

사생활정보(privacy) 보호도 사이버펑크가 내세운 주요 가치 중 하나였는데, 이런 기조는 “정부나 기업이 개인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암호(cypher) 체계를 개발하고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이게 바로 암호(cipher)에 저항을 상징하는 펑크(punk)를 붙여서 만든 합성어 ‘사이퍼펑크(cipherpunk)’의 기원이다. <다음편에 계속>

공병훈 협성대 교수 | 더스쿠프
hobbits84@naver.com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