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코스피 신용공여 역대 최고
생산은 증가 소비는 감소
내년 예산 600조원 넘을 듯

증시가 박스권에 갇히면서 ‘빚투’에 따른 반대매매 위험이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증시가 박스권에 갇히면서 ‘빚투’에 따른 반대매매 위험이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빚투’ 최고치
반대매매 빨간불


주식시장이 박스권에 갇히면서 주식거래대금이 줄었다. 하지만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는 계속해서 늘고, ‘반대매매’ 위험도 커졌다. 반대매매란 투자자가 빚을 제때 갚지 못해 증권사가 해당 주식을 강제로 팔아버리는 걸 말한다. 결국 ‘빚투’의 위험요인이 더 커졌다는 얘기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월 29일 기준 신용공여 잔고는 22조2388억원을 기록했다. 이 잔고는 코스피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띠었다. 코스닥은 10조원을 넘어섰다가 9조9132억원으로 줄었지만, 코스피는 12조3256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공여는 주식을 담보로 빚을 내는 거다. 지난해 동학개미운동이 본격화한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1월 19조원대에서 21조원대까지 급증한 이후 3월 초에 잠시 주춤하다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문제는 지난 1월 11일 코스피가 3266.23을 기록한 이후 3000선 초반(3월 30일 3070.00)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증시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 공매도 허용 재개 이슈 등이 맞물리면서 조정 국면에 들어가서다.

그러자 거래대금은 연초보다 38%가량 줄었고, 증시 유입 자금의 바로미터 격인 투자자 예탁금도 줄었다. 증시 상승을 기대한 단기매매 투자자들은 힘을 잃을 수밖에 없다. 반대매매 위험이 커질 거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3월 24일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비중은 10.6%로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권사들은 반대매매를 할 때 대출금 상환에 필요한 수량만큼을 하한가로 계산해 팔아버린다. 그러면 시장에 하한가 매물이 풀려 해당 종목 주가가 하락하는데, 또다른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경기 개선됐지만…  
소비ㆍ투자 감소세


생산과 소비의 희비가 엇갈렸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생산이 8개월 만에 최대폭인 2.1%(이하 전월 대비)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4.3%)이 가파르게 늘어난 게 영향을 미쳤다.

2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감소했다.[사진=뉴시스]
2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감소했다.[사진=뉴시스]

특히 4차산업 투자에 따른 D램ㆍ플래시메모리를 비롯한 반도체 생산(7.2%)과 기초화학제품ㆍ플라스틱 제조용 화학제품 등 화학제품(7.9%) 생산이 크게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생산도 1.1% 증가했다. 특히 숙박ㆍ음식점 생산이 20.4%를 기록했다. 

반면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의복 등 준내구재(9.7%) 판매는 증가한 반면 음식료품을 비롯한 비내구재(-3.7%), 통신기기ㆍ컴퓨터 등 내구재(-1.7%) 판매가 쪼그라든 게 영향을 미쳤다. 외부활동이 증가하면서 가정 내 음식료품 수요가 감소한 탓으로 풀이된다. 

설비투자도 2.5% 감소하며 뒷걸음질했다. 선박 등 운송장비(10.4%) 투자가 늘어난 반면 특수산업용 기계를 포함한 기계류(-6.2%) 투자가 줄었기 때문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비와 설비투자는 기저효과 등으로 다소 주춤했다”면서 “수출증가에 따른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전산업이 상당한 호조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불과 2년여 만에 
예산 100조 껑충


정부의 2022년 예산이 사상 처음으로 6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정부가 3월 3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2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에 따라 내년에도 확장적 재정정책을 실시하기로 결정하면서다. 

정부가 경제회복을 위해 2022년에도 적극적인 재정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경제회복을 위해 2022년에도 적극적인 재정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3월 25일 1차 추경안과 함께 국회에 제출한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2022년 총 지출액은 589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지출 증가율을 5.6%로 잡아 계산한 수치인데,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 경우엔 600조원을 웃돌 공산이 크다.

실제로 최근 3년간의 재정지출 증가율은 약 9.2%였다. 이를 적용하면 2022년 예상 지출액은 609조원가량이다. 2017년 400조원대였던 예산이 500조원(2020년)을 넘어서는 데 3년 걸렸다면, 500조원에서 600조원을 돌파하는 데는 불과 2년밖에 걸리지 않는 셈이다. 

문제는 나랏빚 역시 불어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정부가 1차 추경안에서 공개한 2022년 예상 국가채무 규모는 1091억원이다. 하지만 정부가 적극적으로 재정을 운용할 경우엔 국가채무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재정 전문가들은 “정부의 재정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온 상황에서 안정적인 세입기반을 만들고, 효과적인 지출 구조조정에 성공하지 못하면 나랏빚이 1100조원을 넘어설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