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부부 재무설계 下
임신했다면 저축 잘 활용해야
자녀 교육비 마련 고민 필요해

아내가 아이를 가지면 대부분의 부부는 맞벌이에서 외벌이로 전향하게 마련이다. 이럴 경우엔 소득이 반으로 줄어 1~2년 뒤 아내가 복직하기 전까진 모아둔 돈으로 버티는 수밖에 없다. 당연히 생활패턴이 바뀌고, 가계사정도 예년만 못할 가능성이 높다.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경제교육원이 출산을 앞둔 부부의 가계부 수정을 도왔다.

임신으로 외벌이가 됐다면 여유자금을 잘 활용해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임신으로 외벌이가 됐다면 여유자금을 잘 활용해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재무설계 2편 Review = 결혼하면서 지금까지 서로의 가계부를 확인한 적 없는 김수호(가명·37)씨와 이희정(가명·35)씨 부부. 맞벌이인 두 사람은 “각자 벌어 각자 쓰자”는 생각으로 별문제 없이 지내 왔다. 공과금이나 주택담보대출금, 자동차 할부금 등의 지출은 각자 알아서 맡아 내는 등 책임감 있는 모습도 보였다.

이랬던 두 사람의 관계가 흔들리기 시작한 건 아내 이씨가 아기를 가지면서다. 회사를 그만두면서 남편으로부터 용돈을 받아 생활하니 금전적으로 쪼들리기 시작했고, 이씨는 이를 견디기 힘들어했다. 따로 관리하던 가계부 2개를 하나로 끼워 맞추는 일도 쉽지 않았다. 어떤 지출을 누가 담당해야 할지 의견이 좀처럼 모이질 않았다. 이씨가 저축해둔 돈도 하루가 다르게 줄어들자 이씨는 조바심이 났다.

부부는 재무상담을 통해 해결법을 찾아보기로 결정했다. 필자는 1차 상담에서 두 사람의 가계부를 합치고 지출 분류를 다시 했다. 부부에겐 앞으로도 소득을 합치고 가계부를 공동 관리해야 한다고도 권했다.

이렇게 가계부를 합치면 수입과 지출을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가 담당해야 할지 애매한 지출 항목을 두고도 충돌할 필요가 없다. 가계부를 함께 관리하면 배우자 모르게 돈을 쓰기 어렵기 때문에 그만큼 돈을 모으는 것도 쉬워진다. 가계부를 따로 관리하는 것보다 합치는 게 재무설계에 훨씬 좋은 이유다.

2차 상담에선 본격적으로 지출을 줄였다. 현재 부부의 월소득은 남편이 버는 250만원이 전부인데, 지출 총액이 363만원으로 소득을 훨씬 넘어선 상태다. 부부가 머리를 맞댄 결과, 총 120만원을 절약하는 데 성공했고, 113만원이었던 적자를 7만원 흑자로 돌리는 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솔루션을 짜기엔 액수가 터무니없이 부족했다. 어떻게 해야 좋을까.

■재무설계 최종편 = 일단 부부가 모아놨던 통장들을 살펴봤다. 기존엔 비상금 890만원에 2개의 예금통장(720만·1580만원)을 합해 총 3190만원이 있었는데, 자동차 할부금(1340만원)과 스마트폰 할부금(30만원)을 갚느라 1820만원으로 줄었다. 여기에 2차 상담에서 해지한 보험해지환급금 230만원을 더해 부부는 총 2050만원을 여유자금으로 확보했다.

부부는 이걸 월급처럼 사용하기로 했다. 한달에 130만원씩 쓰면 총 1년 4개월여 버틸 수 있는데, 아내가 복직할 때까지는 충분히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부부의 월 소득은 250만원에서 380만원으로 늘어나는 셈이었고, 솔루션에 쓸 수 있는 자금은 137만원(기존 7만원+130만원)이 됐다.

그럼 본격적으로 솔루션을 짜보자. 결혼 후 출산을 하게 되면 부부는 자녀 양육과 교육, 내집 마련의 욕구가 생기기 시작한다. 특히 자녀가 자라는 과정에선 아이에게 더 잘해주고 싶은 마음이 커지다 보니 남들과 비교하고, 그들을 부러워하기도 한다. 여기까진 어떤 부부든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문제는 이런 마음 때문에 계획에 없던 지출을 일삼는 경우다. 그러면 ‘자녀를 위한 것’이란 생각 때문에 되돌리기도 쉽지 않다. 김씨 부부에게 명확한 자녀교육 철학이 무엇보다 필요한 건 이런 이유에서다.

다행히 두 사람은 아이를 사교육에 맡기지 않고 최대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키우고 싶어 했다. 아이를 임신했음에도 부부가 ‘지출 내역 재정리’ ‘효과적인 돈 관리’ 등 자녀 교육비와 관계없는 재무목표를 필자에게 제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지만 최소한의 사교육은 어느 정도 필요하고, 다른 장기목표를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서 필자는 ‘주택담보대출금 상환’ ‘자녀 교육비 마련’ ‘노후 자금’ 순으로 재무목표를 다시 짜줬다. 우선 두 사람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각각 2만원씩 저축하기로 했다. 현재 자가 주택이 있는 부부는 집을 따로 장만할 필요가 없지만, 나중에 민간분양을 통해서 집을 매입할 수도 있어 최소한의 방편을 준비하기로 했다.

다음으로는 제2금융권 은행에 70만원씩 예금할 예정이다. 이는 새마을금고·농협·축협 등 제2금융권 은행의 금리가 최근 조금씩 오른 것에 따른 결정이다. 요즘처럼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예·적금 상품을 들 때는 반드시 이자소득세를 따져야 하고, 과세를 줄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앞서 언급한 은행은 1만~3만원을 내고 준조합원 자격을 얻으면 이자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1.4%의 농어촌 특별세만 내면 된다. 여기에 모은 돈은 향후 주택 대출금을 상환하는 데 쓸 예정이다.

적립식 펀드(30만원)에도 가입했다. 장기간 납입할수록 이득이 되는 적립식 펀드가 자녀 교육비를 마련하는 데 적격이라서다. 부부는 미국 대형 성장주에 주로 투자하는 미국 펀드와 자율주행·전기차 배터리에 투자하는 국내 펀드에 가입했다. 재테크 초보인 부부는 필자와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 적립식 펀드를 계속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노후 준비를 위해 개인연금(18만원)에도 가입했다. 가입 시기가 이르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래 납입할수록 빛을 보는 개인연금을 지금 들어두면 나중에 큰 혜택으로 돌아올 것이란 필자의 판단을 따르기로 했다. 18만원으로는 노후를 준비하기가 아무래도 부족하기에 개인형 퇴직연금(IRP)에도 15만원 납입하기로 했다.

IRP 상품은 근로자가 재직 중 가입하거나 퇴직 시 받은 퇴직급여를 계속 적립·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재직 중 가입할 경우 연간 18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재무솔루션이 모두 끝났다. 부부는 주택종합청약계좌 개설(총 4만원), 주택담보대출금 상환용 예금(70만원), 자녀 교육비 마련(적립식 펀드 30만원), 노후 준비(개인연금 18만원·개인퇴직연금 15만원) 등 137만원을 알차게 썼다. 이제 부부에겐 솔루션대로 가계부를 잘 관리하는 일만 남았다. 두 사람이 뜻을 모아 앞으로의 난관도 헤쳐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