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기준금리 인상에 비트코인 ‘폭락’
둔촌주공 재건축 갈등 해소할까
한은 빅스텝 유력… 증시 전망은

“날개 없는 추락” 
비트코인 망연자실

올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올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 최대 가상화폐로 꼽히는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지난 4일 가상화폐 데이터분석 플랫폼인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올 4월 한때 4만8205달러로 최고가를 찍었던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6월 1만7581달러를 기록하며 두달 새 63.5% 급락했다(글로벌 시세 기준).

국내 코인시장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 기준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2분기에만 58.7%(5760만원대→2380만원대) 하락했다. 이는 국내에서 비트코인 거래가 처음 시작됐던 2013년 9월 이래 가장 큰 하락폭이다.

올해 들어 가상화폐 가격이 폭락하고 있는 배경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있다. 연준은 지난 5~6월 두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한번에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다.

금리 인상은 코인시장에 악재다. 시장에 풀린 유동성이 줄면 투자자들은 위험자산은 회피하고 금ㆍ채권 등의 안전자산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높아져서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코인을 대거 매도하면 코인 거래량이 급감하고, 거래량이 줄면 작은 충격에도 가격이 급락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테면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가격 안정성은 떨어지는 거다. 

문제는 코인시장의 전망도 그리 밝지는 않다는 점이다. 연준이 7월 또한번의 빅스텝을 시사하고 있어서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US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예상 밖의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한 코인시장은 계속해서 불안한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둔촌주공 논란 속
마지막 퍼즐


둔촌주공 재건축을 둘러싼 갈등이 봉합될 조짐이 보인다. 서울시는 7일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 관련 중재 상황을 중간 발표 형식으로 전했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조합과 시공사업단 간 갈등이 불거지며 지난 4월 15일 돌연 중단됐다.

지난 4월 공사가 중단된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이 언제 재개될지 알 수 없다.[사진=뉴시스]

서울시는 “지난 5월 말 1차 중재안을 제시한 후 조합과 시공사업단 측을 각각 10차례 이상 만나 이견을 조율한 끝에 9개 쟁점 사항 중 8개 조항을 합의했다”면서도 “마지막 상가 분쟁 관련 중재안은 미합의 상태”라고 말했다.

합의한 8개 조항은 기존 계약 공사비 재검증, 설계 계약 변경 등이다. 서울시가 언급한 미합의 조건은 상가 PM(건설사업관리)사의 유치권 해제 문제다. 시공사업단 측은 조합, 상가대표기구, PM사 간 분쟁 합의 사항이 총회 의결을 통과해야 공사 재개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조합 측은 “사업단이 시공사와 무관한 상가PM사 문제를 끌어들였다”면서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공사 재개에 앞서 조합 내부 상가 관련 분쟁 해결을 원하는 시공사업단의 요구와 조합 입장을 조율해 최종 합의를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공사 중단이 장기화할 경우 조합원 의견 수렴을 거쳐 법령에 따라 서울주택도시공사(SH)를 사업 대행자로 지정해 갈등을 해소하는 정상화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둔촌주공은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이라는 별칭이 붙은 재건축 사업이다. 강동구 둔촌1동 170-1번지 일대에 지상 최고 35층 85개동 1만2032가구(임대 1046가구 포함)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시설을 짓는 사업인데, 일반분양 물량만 4786가구에 달한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베이비냐 빅이냐
증시가 예민해졌다


한국은행이 사상 첫 빅스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6.0%)를 찍었기 때문이다.

한은이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할 듯하다.[사진=뉴시스]

다만, 빅스텝의 효과를 두고 투자업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은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지만 이번엔 다르다.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을 늦추거나 역전폭을 줄여놓으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이탈을 일부 막을 수 있어서다. 

물론 장기적 관점에선 기준금리 인상이 증시 약세를 부추길 거란 비관론이 우세하다. 가령, 금리가 인상되면 안전자산인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서 위험자산인 주식 투자의 매력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로 인해 (증시로의) 유동성 유입에 타격이 생기면 기업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결국 실적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론 기업의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거다. 

문제는 국내 증시가 이미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7월 8일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2334.27)보다 16.34포인트 오른 2350.61에 장을 마치며 겨우 2300선을 회복했다. 한은의 빅스텝은 국내 증시에 후폭풍을 불러올까.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