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pedia
자기자본 대비 차입 뜻하는 레버리지
자산가치 낮아지는 불황 땐 부채 축소
‘디레버리징’ 이행하며 수요 관리해야
IMF “각국서 채무자 우호 조치 부족”
尹 정부, 서민 위한 보호책 마련 필요

[사진 | 뉴시스, 자료 | OECD, 참고 | 처분가능소득 대비 수치]
[사진 | 뉴시스, 자료 | OECD, 참고 | 처분가능소득 대비 수치]

☞ 디레버리징(Deleveraging) =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통해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레버리지(Leverage)는 자기자본 대비 차입 비율을 뜻한다.  기업과 가계는 경기가 좋을 땐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 수익성이 높은 사업이나 자산에 투자해서 자본을 불리는 경향이 높다. 반면, 경기가 침체할 때는 자산가치가 폭락해 투자수익률이 낮아지고 금리는 높아지기 때문에 부채를 축소하는 디레버리징이 필요하다. 

2023년 경기침체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국내에서도 불필요한 자산ㆍ대출을 줄이는 디레버리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2022년 12월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간담회에서 “특히 가계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상당한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디레버리징을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디레버리징은 급격히 단행하기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살펴봐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는 ‘디레버리징의 역설’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디레버리징 과정에서 경제주체들이 빚을 줄이는 데만 집중하면 수요 기반이 무너지고 소비가 줄어 경기침체가 심화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당시 경제주체들이 보유하던 자산을 무더기로 매각하면서 자산가치 하락→소비 감소→경기불황(일명 부채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기도 했다. 그만큼 디레버리징이 경제주체들의 고통을 수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디레버리징 상황에선 이전보다 원금 상환액이 늘어나 취약계층의 현금흐름에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로맹 부이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가계 디레버리징 및 저축률: 국가 간 분석’ 보고서에서 “대부분의 국가에선 가계를 위한 채무자 우호 조치가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우리 정부는 어떨까.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에서 서민을 위한 보호책은 과연 마련돼 있을까.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