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Infographic
부적 거래 플랫폼 ‘부적오운’
부적 스캔해 디지털화해 거래
종이 부적 복제품에 불과
디지털 부적에 효과 있을까

최근 부적을 디지털해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 거래소가 출시됐다.[사진=부적오운 제공]
최근 부적을 디지털해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 거래소가 출시됐다.[사진=부적오운 제공]

한국인은 운세에 관심이 많다. 아이러니하게도 젊은 세대가 특히 그렇다. 10~30세 성인남녀 1608명 중 90.0%가 ‘운세를 본 적이 있다’고 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이를 잘 보여준다(구인구직 플랫폼 알바천국·2018년 기준). 운세를 얼마나 자주 보는지를 묻는 질문엔 ‘반년에 한번’이 25.1%로 가장 많았다. “매일 본다”는 응답자도 10.8%에 달했다(표❶).

그런데도 관련 시장 규모는 조금씩 작아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점술 및 유사 서비스업’은 2016년 2039억5900만원에서 2019년 1748억9600만원으로 3년 새 14.2% 줄었다(표❷). 이후 코로나19 방역 규제로 비대면 문화가 한국 사회에 자리 잡은 걸 감안하면 오프라인이 중심인 국내 점술 시장 규모는 앞으로도 쪼그라들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 때문인지 업계에선 위기를 헤쳐나갈 돌파구로 온라인을 주목하는 듯하다. 2022년 12월 15일 게임 아이템 거래 플랫폼 아이템베이·아이엠아이가 공동투자해 디지털 부적 거래 플랫폼 ‘부적오운’ 서비스를 출시한 건 대표적인 사례다(표❸).

‘디지털 부적’이 거래되는 과정은 이렇다. 플랫폼에 판매자로 등록된 무속인이 부적을 제작하면 이를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 후 자체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다. 디지털화한 부적은 경매나 일반 판매로 거래한다. 구매자는 부적오운 앱에 부적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부적을 휴대할 수 있다. 구매자가 원할 경우 실물 부적을 수령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적오운 관계자는 “디지털 부적을 통해 종이 부적이 가진 휴대의 번거로움과 분실·훼손 위험을 해결했다”면서 “바쁜 현대인 일상에 간편하게 행운을 가져다줄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면서 론칭 의의를 밝혔다. 디지털 문화에 친숙한 MZ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부적 트렌드를 넓혀가겠다는 게 부적오운의 미래플랜인 셈이다.

문제는 디지털 부적에서 종이 부적만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느냐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민간에서 부적은 특수한 과정을 거쳐 제작돼 왔다. 세세한 부분은 만드는 무속인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붉은색을 띠는 돌 ‘경면주사’를 곱게 가루 낸 뒤, 한약재를 첨가해 만든 기름 ‘부적유’와 섞는다.

그런 다음 이를 물감 삼아 회화나무를 원료로 만든 종이 ‘괴황지’에 붓으로 그려 부적을 완성한다(표❹). 부적 한장을 만드는 데 적지 않은 노력이 들어가는 셈이다. 하지만 디지털 부적은 종이 부적을 디지털화한 복제품에 지나지 않는다. 실체가 없는 이 부적엔 경면주사도, 괴황지도 없다.

출력한다 해도 마찬가지다. A4용지에 프린트 잉크로 그려진 부적이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이런 디지털 부적은 블루 오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아니면 이용자를 기만한 ‘상술’에 그치게 될까.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