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부부의 재무설계 2편
부부는 경제공동체 잊지 않아야
경제권 한쪽에 쏠리면 문제 많아
소득·지출 투명하게 공유해야

부모님 세대는 보통 집안의 가장이 경제권을 갖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유를 묻는 사람은 없었다. 그래야 하는 줄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졌고, 상황이 바뀌었다. 부부가 서로 머리를 맞대도 모자랄 판에 혼자 경제권을 움켜쥐는 건 득보다 실이 더 많다.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경제교육원㈜이 아내가 경제권을 가진 부부에게 조언을 건넸다.

부부가 재무 목표를 달성하려면 경제권 공유, 소득·지출 공개는 필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부부가 재무 목표를 달성하려면 경제권 공유, 소득·지출 공개는 필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양정훈(가명·36)씨와 이희은(가명·37)씨는 이혼을 고민 중인 상담자들이다. 저녁 식사 때의 사소한 말다툼이 이혼 위기로 이어질 정도로 사이가 나빠졌다.

물론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다. 평소 아내가 경제권을 쥐고 있는 게 불만이었던 남편이 급격히 늘어난 자녀 학원비를 지속적으로 문제 삼았고, 아내도 이런 남편의 태도가 달가울 리 없었다. 말다툼은 스트레스가 쌓일 대로 쌓여 있던 부부를 폭발하게 만든 ‘기폭제’였던 셈이다.

다행히 둘은 감정이 앞선 탓에 이혼 얘기를 꺼낸 듯하다. 필자와 이야기를 나눠보니 부부는 정말로 갈라설 생각이 없었다. 이제 9살이 된 자녀 때문이기도 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부부로선 감이 잡히질 않았다. 서로의 방식이 옳다고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럼 부부의 재정 상태를 살펴보자. 둘 다 중소기업을 다니는 부부의 월 소득은 550만원으로, 남편이 330만원, 아내가 220만원을 번다. 지출로는 매월 쓰는 정기지출이 543만원, 1년에 걸쳐 쓰는 비정기지출이 월평균 32만원, 저축·재테크 등의 금융성 상품 10만원이다. 부부는 총 585만원을 쓰고 35만원씩 적자를 보고 있다. 이밖에 자가 빌라(시세 1억5000만원)를 소유하고 있고, 부채로 신용카드 할부금(총 300만원)이 있다.

부부의 재정 상태는 무척 나쁜 편이다. 한달에 35만원씩 적자가 나는 것도 그렇고, 신용카드를 계획 없이 쓰는 탓에 할부금이 줄어들 생각을 하지 않는다. 한달에 140만원씩 쓰는 생활비, 66만원씩 빠져나가는 보험료도 마찬가지다. 이 정도면 5인 가구가 쓸 법한 액수다.

무엇보다 부부의 가장 큰 문제는 소득과 지출에 관해 서로 의심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감정의 골이 깊어져서일까. 부부는 평소 서로의 지출을 잘 공개하지 않는다고 했다. 서로가 어디에 돈을 쓰는지 관심도 없고, 확인할 생각도 하지 않았다. 사실 가계부도 필자와 상담을 하기 위해 썼다고 했다. 급여마저도 100% 공개한다고는 하지만, 얘기를 들어보니 부부는 서로 비상금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그 정도로 부부의 신뢰는 상당히 무너진 상태였다.

맞벌이 부부의 재무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공동으로 가계부를 운영하는 것이다. 그래야 서로를 의심할 여지가 생기지 않고, 재정 관리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필자는 아내 혼자서 통장을 관리하지 말고, 남편과 공유해 부부가 경제권을 함께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부부가 소득과 지출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부가 같은 직장에 다니지 않는 한 급여일이 각자 다르고, 급여 통장을 공개하지 않으면 소득도 정확히 알 수 없다. 서로 정확한 실수령액을 파악하고, 상여금과 수당 등 추가 소득도 전부 알려줘야 한다.

재정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대화를 나누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자의 경제관을 서로 이해할 수 있고, 그러면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도 한결 수월해진다. 현재 부부가 다투는 쟁점 중 하나는 자녀의 교육비다. 한달에 50만원씩 쓰고 있는데, 남편은 이를 과한 액수라고 생각하는 반면 아내는 자녀를 위해 더 돈을 쓰지 못하는 걸 아쉬워하고 있다.

정해진 답이 있는 건 아니지만, 월 소득의 10% 가까이 교육비에 지출하는 건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필자는 부부에게 자녀 교육비를 어떻게 할지 고민할 시간을 가져본 뒤 답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어느 정도 교통정리가 됐으니, 이제 지출 줄이기를 시작해 보자. 먼저 월 140만원씩 쓰는 식비·생활비를 줄여보기로 했다.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아이를 키우는 가정은 그렇지 않은 곳보다 식비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좋은 음식을 먹이고 싶은 부모의 마음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양씨 부부의 식비는 많아도 너무 많다.

일단 부부의 식자재 소비 패턴부터 살펴봤다. 아내는 마트에서 대용량 반찬을 자주 사는 편인데, 항상 잔반이 남아 적지 않은 양을 버리고 있었다. 요리를 즐기는 아내는 해산물과 향신료도 자주 사는데, 건강을 생각해 유통기한이 어느 정도 남아도 바로 버린다고 한다.

우선 대용량 반찬을 줄이고 인근 시장에서 소량으로 반찬을 구매하기로 했다. 시장의 장점 중 하나는 콩나물 500원어치, 상추 1000원어치 등 마트에서 따라하기 힘든 액수로도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고급 식재료나 향신료도 앞으로는 구매를 자제하기로 했다. 이런 방식을 거쳐 부부는 식비·생활비를 14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40만원 줄이기로 했다.

통신비(18만원)도 줄였다. 요즘엔 알뜰폰이 정말 잘 나온다. 알뜰폰 업체 간의 경쟁이 활발해지면서 안 그래도 저렴했던 가격이 더 낮아졌다. 요새는 5G 요금도 괜찮은 수준이다. 남편도 내심 알뜰폰으로 바꾸길 바라고 있었는데, 아내와 말할 기회가 없었다고 한다. 이참에 부부는 자녀까지 포함해 요금제를 모두 알뜰폰으로 교체했다.

또 유선 인터넷과 케이블TV 업체도 바꿨다. 우리나라 통신사가 SK텔레콤·KT·LG유플러스만 있는 게 아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지역 인터넷 통신사도 있어 이를 적극 이용하면 통신비를 꽤 아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부부는 통신비를 18만원에서 10만원으로 8만원 줄이는 데 성공했다. 식비·생활비에서 아낀 40만원을 합하면 총 48만원을 절약한 셈이다. 이에 따라 35만원 적자도 13만원 흑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이 정도론 재무 솔루션을 세울 수 없다. 부부는 재무 목표로 ▲더 큰 아파트로 이사하기 ▲자녀 교육비 확보를 꼽았는데,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꽤 많은 여유자금이 필요하다. 과연 부부는 자금 확보에 성공할 수 있을까. 다음 시간에 좀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