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이슈 아카이브
건설사 절반은 잠재적 부실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세
10곳 중 2곳은 한계기업
부실화 악화할 가능성 높아 

건설업계의 재무구조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사진=뉴시스]
건설업계의 재무구조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사진=뉴시스]

건설사 10곳 중 4곳이 벌어들인 돈으로 빚도 못 갚는 ‘잠재적 부실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부실기업이 많은 만큼 건설업계의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11월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내놓은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 외감기업 2232곳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사는 929곳(41.6%)이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라는 건 번 돈으로 이자를 갚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는 뜻이어서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이런 ‘잠재적 부실’이 3년 연속 지속되면 해당 기업을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5 이상이면 부채를 변제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문제는 ‘잠재적 부실’ 상태인 건설사 수와 비중이 매년 늘고 있다는 점이다. 2018년 642곳(32.3%)이던 잠재적 부실 건설사는 2019년 702곳(34.2%), 2020년 773곳(36.2%), 2021년 909곳(40.2%)으로 늘었다.

특히 ‘잠재적 부실’이 3년 연속 이어져 ‘한계기업’으로 볼 수 있는 건설사는 387곳(18.7%)이었다. 역시 2020년 305곳(15.8%), 2021년 349곳(17.3%)으로 증가세다.[※참고: 연구원은 최근 3년 연속 실적이 존재하는 업체를 기준으로 한계기업을 선정했다. 따라서 기간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다. 표본 기업 수는 매년 조금씩 다르지만, 중요한 건 ‘잠재적 부실기업’과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사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종합건설업종 내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8.8%에서 2022년 22.1%로 3.3%포인트 커졌다. 그중에서도 건물건설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24.3%로, 토목건설업 내 한계기업 비중(18.8%)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건설업종 내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1.5%에서 2022년 13.5%로 2.0%포인트 상승했다. 그중에서도 전기 및 통신공사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19.3%로 가장 높았다. 규모별로 보면 전체 한계기업(387곳) 중 대기업은 54곳(14.0%), 중소기업은 333곳(86.0%)이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수도권(17.4%)보다는 비수도권의 비중(20.3%)이 더 높았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건설사들의 수익률도 하락했다.[사진=뉴시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건설사들의 수익률도 하락했다.[사진=뉴시스]

이처럼 한계기업이 증가한 이유는 뭘까. 연구원에 따르면 우선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상황에서 부채를 늘린 건설사들이 최근 물가상승과 금리상승에 따라 이자비용 부담이 커진 탓이 크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지속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익률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원은 “건설업은 외부환경에 따른 민감도가 높아 경제위기에 취약하고, 연쇄부도 시 부정적 파급효과도 큰 산업”이라면서 “건설경기의 하락이 올해부터 본격화하고 있어 건설업 부실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미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 부실기업의 선제적 구조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