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4분기 전기요금 추가 인상할까
연간 물가상승률 5% 넘어서나
7월 고용시장 회복과 부진 사이

전력도매가격이 치솟으면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전력도매가격이 치솟으면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한전 적자 전망 
“전기요금 꿈틀”


전기요금이 또다시 꿈틀하고 있다. 8월 전력도매가격(SMP)이 200원 선을 넘으면서 올 4분기 전기료 추가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통합(육지ㆍ제주) SMP는 ㎾h당 평균 202.7원으로 7월(151.85원) 대비 33.5% 상승했다. SMP가 200원 선을 넘은 건 지난 4월(202.11원) 이후 4개월 만이다. 

SMP는 한전이 석유ㆍ석탄ㆍ액화천연가스(LNG) 등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올 때 적용하는 가격이다. 최근 SMP가 크게 치솟은 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LNG 가격이 큰폭으로 상승한 탓이다. LNG 열량단가는 지난 6월 G㎈당 7만7662원에서 7월 9만1017원, 8월 12만7096원으로 3개월 새 63.6% 급등했다. 

SMP가 오르면 한전의 전력구입비가 늘어나고, 전력구입비가 늘면 한전의 적자 규모도 불어난다. 원가(전력구입비)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상쇄하려면 한전의 판매단가인 전기요금을 올려야 하는데, 원가상승분만큼 전기요금을 올리기 어려워서다. 

일례로 올 5월까지 한전의 평균 전력구입단가는 ㎾h당 146.1원으로 판매단가(㎾h당 108.2원)보다 37.9원 더 높았다. 전기를 더 많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였던 셈이다.

이를 이유로 지난 6월 정부가 3분기 전기요금의 연료비 조정단가를 ㎾h당 5원 인상했지만, 업계에선 “지금처럼 SMP가 계속 오르면 올해 한전의 영업적자 규모가 최대 30조원에 이를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전은 올 1분기 7조8000억원의 역대 최대 영업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도 6조5000억원의 적자를 냈다. 이로써 한전은 올 상반기에만  14조원이 훌쩍 넘는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해 1년간의 영업적자(5조9000억원)의 2배에 이른다.  ‘4분기 전기요금이 추가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곳곳에서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물론 전기요금이 실제로 인상될지는 미지수다. 고물가 국면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에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어서다.

이창용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8일 열린 기자단담회에서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줄면서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치솟아 국내 발전단가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전기요금 추가 인상은) 기획재정부 등 물가당국과 협의하고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전기요금 인상 압박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SMP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데다, 기업들의 여름휴가 복귀와 무더위가 맞물려 국내 전력 수요가 늘어날 공산이 커서다. 고물가-민생 불안-한전 적자라는 3중고 속에서 정부는 과연 어떤 카드를 꺼내들까.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물가 24년 만에
최고치 찍을까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넘을 거란 전망이 흘러나오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1~7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전년 누계비) 올랐다.[※참고: 전년 누계비는 해당 기간 물가 평균을 전년도 같은 기간 물가 평균과 비교한 수치다.]

전년 누계비 변동률은 1ㆍ2월 3.6%, 3월 3.8%, 4월 4.1%, 5월 4.3%, 6월 4.6%, 7월 4.9%로 점점 상승하고 있어 물가가 전월과 같거나 하락하지 않는 한 5%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넘을 거란 전망이 많다.[사진=뉴시스]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넘을 거란 전망이 많다.[사진=뉴시스]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넘으면 외환위기 때인 1998년 이후 최고치다. 당시 연간 물가상승률은 7.5%를 기록했다. 5%대 연간 물가상승률을 내다볼 수밖에 없는 요인은 수두룩하다.

무엇보다 에너지ㆍ식료품을 비롯한 공급측 요인에서 시작된 물가상승세가 개인서비스 등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는 데다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가 이어지면서 농산물가격이 치솟고 있다. 

평년보다 이른 추석(9월 10일)도 걱정거리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9~10월 전후에 물가상승률이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예상한 만큼 물가 상황은 당분간 더 악화할 전망이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먹구름 드리운
하반기 고용시장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국내 고용시장이 주춤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2개월 연속 취업자 수 증가폭이 줄고 있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284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2만6000명(3.0%) 증가했다. 6월(84만1000명)보다는 1.8%,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0만명 이상으로 정점을 찍었던 1월(113만5000명)보다는 27.3% 줄어든 수치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 수가 17만6000명(4.1%) 늘었다. 2015년 11월(18만2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기타 기계장비제조업종의 고용이 증가한 데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전기장비 제조업,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의 업황이 개선되면서 전체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다.

지난 6월에 이어 7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지난 6월에 이어 7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이밖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ㆍ4.9%), 정보통신업(9만5000명ㆍ10.6%) 등에서도 고용 회복세가 이어졌다.

반면 사업시설관리ㆍ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만5000명ㆍ-1.7%), 협회 및 단체ㆍ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2만3000명ㆍ-2.0%)에선 취업자 수가 되레 줄었다. 금융 및 보험업(-2만1000명ㆍ-2.6%)도 오프라인 점포 수가 줄고 비대면ㆍ온라인 서비스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7개월째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앞으로 국내 고용시장의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는 “코로나19의 재확산, 금리인상, 가계소비심리와 기업투자심리 위축 등 하반기 고용을 위협하는 하방 요인이 상존한다”면서 “경기둔화, 인구감소 등의 변수까지 고려하면 내년 고용시장 둔화세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