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이슈 아카이브
美 정부, 지난 1월 부채한도 도달
의회와 부채한도 인상 협상 난관
디폴트 맞을 경우 금융시장 출렁
비트코인 ‘안전자산’ 떠오르면서
디폴트 수혜 입을 것이란 관측도
디폴트와 비트코인의 역설적 공생

비트코인 가격이 횡보세를 걷고 있다.[사진=뉴시스]
비트코인 가격이 횡보세를 걷고 있다.[사진=뉴시스]

비트코인 가격이 3600만원선에서 소폭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5월 24일 오전 8시 22분 기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비트코인은 23일 종가(3603만3000원) 0.70% 오른 3628만4000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간 업비트에서는 전일 종가(3633만2000원) 0.02% 감소한 3632만4000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이 횡보세를 보이는 데는 미국 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을 관망하는 시장의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서 부채한도란 미국 정부가 사회보장제도 운영, 의료보험 혜택 제공, 국가 채무에 따른 이자 지급, 세금 환급 등의 법적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 빌릴 수 있는 총금액을 말한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1월 정부가 의회에서 정한 부채한도에 봉착했다고 발표했는데, 그 규모만 31조4000억 달러(약 3경8842조원)에 달한다. 


부채한도에 도달했다는 건 정부가 더이상 지출에 필요한 돈을 빌릴 수 없다는 뜻이다. 이 상태에서 기존 부채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면, 미국은 사상 최초로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후 국가 부도에 이르게 된다. 

디폴트 사태를 막기 위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이 부채한도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논의는 지지부진하다. 양측은 지난 5월 9일 첫 만남 이후 벌써 3주째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전제조건 없이 상한선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과 상한선 조정을 위해선 우선 정부 지출을 삭감해야 한다는 의견이 부딪히면서다. 


만약 미 정부와 의회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미국은 이르면 오는 6월 1일 디폴트에 빠질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가상화폐 시장에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디폴트가 미국 국채 수요 감소→국채 이자율 상승→미 정부 부채 상환 비용 증가→긴축 체제 돌입→세계 경제 둔화→금융 및 가상 시장 위축이란 악순환을 불러올 수 있어서다.

[사진 | 연합뉴스, 자료 | 빗썸, 참고 | 종가 기준] 
[사진 | 연합뉴스, 자료 | 빗썸, 참고 | 종가 기준] 

하지만 정반대의 해석도 있다. 제프 켄드릭 스탠다드차타드 디지털자산연구 책임자는 “미국이 디폴트를 선언하면 비트코인의 가치가 현재 수준에서 거의 70% 상승한 2만 달러까지 뛰어오를 수 있다”고 관측했다. 비트코인이 금융시장의 위험 요인을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자산’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게 제프 켄드릭 책임자의 주장인 셈이다. 

비트코인을 둘러싼 긍정적 전망은 이뿐만이 아니다. 빗썸경제연구소는 “미국의 부채한도가 상향 조정되면 확장재정 정책으로 인한 시장의 유동성 증가가 미 연방준비제도의(연준ㆍFed) 금리 인하 가능성과 맞물려 비트코인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과연 국가 부도란 악재는 비트코인에 호재로 작용할까.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