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s infographic
전성기 열린 K-푸드 인기
영화 · 음악 등 한류 효과
정부, 수출 전략 상품 선정
官 주도 수출전략 허와 실
MB 정부 실패 답습 안 하려면

정부는 K-푸드를 수출 전략 상품 중 하나로 꼽고 있다.[사진=뉴시스]
정부는 K-푸드를 수출 전략 상품 중 하나로 꼽고 있다.[사진=뉴시스]

‘K-푸드’가 전성시대를 맞았다. 해외 어딜 가나 라면부터 고추장, 김치 등 한국 식품을 찾아볼 수 있다. 지난해 K-푸드(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20억 달러(약 15조원)를 갈아치웠다.

글로벌 햄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쉐이크쉑’은 미국 전역 매장에서 ‘고추장 치킨버거(2021년)’를 출시해 인기를 끌었다. ‘질긴 음식’이라며 외국인들로부터 외면받던 ‘떡볶이’는 가장 트렌디한 음식이 됐다. 미국 NBC는 지난 3월 ‘Tteobokki takeover(떡볶이의 점령)’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한국의 길거리 음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표❶). 

라면은 두말할 것도 없는 수출 효자 상품이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7억6541만 달러(약 1조원)를 달성했다. 전년(6억7440만 달러) 대비 13.4% 증가한 액수다. 세계시장에서 인기를 끈 ‘불닭볶음면’을 내놓은 삼양식품의 경우 라면 해외 매출액(2022년 기준 6026억원)이 국내 매출액(2526억원)보다 3배가량 많을 정도다(표❷). 

이렇게 변방에 있던 K-푸드가 세계 중심에 올라선 건 한국의 음악·영화 등 콘텐츠의 힘 덕분이다. 미국 U.S.뉴스·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문화 파급력 순위는 2017년 31위(80개국 중)에서 지난해 7위(85개국 중)로 껑충 뛰었다(표❸). 문화 파급력이 K-푸드의 인기라는 경제적 효과로 이어진 셈이다. 

한류에 올라탄 K-푸드가 날자, 정부도 나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 참석해 K-푸드를 전략 수출 품목 중 하나로 꼽았다. 아울러 K-푸드 수출액을 올해 135억 달러, 2027년 200억 달러로 키운다는 걸 정부의 목표로 내걸었다. 

5월에는 한식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주도로 ‘한식 산업 발전 협의체’를 발족했다. 이 협의체는 연내 ‘한식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7월엔 농림축산식품부가 ‘K-푸드’ 로고도 선보였다. 국내에서 식품을 생산·제조하는 수출기업이라면 누구나 K-푸드 로고를 신청해 사용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패키지에 K-푸드 로고를 새겨 넣으면 해외 유사 제품과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까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K-푸드 로고 론칭 이후 2주간 58개 업체가 로고 사용을 신청했다.(표❹).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7억6541만 달러(약 1조원)를 기록했다.[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7억6541만 달러(약 1조원)를 기록했다.[사진=연합뉴스]

하지만 로고 도입을 고민하는 업체도 적지 않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영세업체들의 경우 K-푸드 로고를 부착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기업마다 브랜딩이나 마케팅 전략이 다른 만큼 일괄적인 K-푸드 로고를 달아 강조하는 건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사실 지금의 K-푸드 열풍은 정부 정책이 아닌 K-콘텐츠의 인기에서 기인한 ‘현상’이다. 관官이 주도하는 한식의 세계화 전략은 실패한 바 있다. 2009년 이명박 정부가 꾸린 ‘한식세계화 추진단’이 대표적 실패사례다. 한식세계화 추진단은 김치·떡볶이·비빔밥·막걸리를 한식의 세계화 품목으로 꼽고 전세계 각지에서 한식 시식회를 여는 등의 전략을 펼쳤다.

하지만 반짝 성과에 그쳤다. 2009년 미국·네덜란드 등에서 열린 떡볶이 축제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고, 떡볶이를 개발하기 위해 설립했던 ‘떡볶이 연구소’가 1년여 만에 연구 과제를 중단한 건 단적인 예다. 

그로부터 14년이 흐른 지금에야 K-푸드의 세계화가 시작됐지만 이는 언급했듯 정책의 성과물이 아니다. 그럼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오세조 연세대(경영학) 교수는 “정부가 K-푸드 수출을 주도하기보다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영화·게임·음악 등 다양한 K-콘텐츠와 K-푸드가 융합할 수 있는 장場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승호 숭실대(경영학) 교수는 이렇게 강조했다. “김치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어도, 중국산 김치가 시장을 점령하면 의미가 없다.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제품의 강점이 무엇인지 세계인이 알게끔 식품 안전 관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