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視리즈] 2023년 직장인별곡➍
팬데믹 후 업종별 분석-반도체
코로나 시기 반도체 수요 폭등
호황 속 세력 불린 K-반도체 기업
코로나 이전 대비 평균 연봉 증가
반도체장비업 성장세 두드러져
기업들 설비 투자 확대 주요 배경
엔데믹 이후 과잉 재고 문제 발생
2분기 부진했던 장비업 살아날까

코스닥 반도체업종의 선전을 이끈 건 반도체장비업이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스닥 반도체업종의 선전을 이끈 건 반도체장비업이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잘나갈 땐 거침이 없었다. 위기가 찾아오는 건 한순간이었다. 그래도 한창때 몸집을 제법 불려둔 덕분인지, 결과적으론 ‘양적 성장’을 이뤄냈다. 코로나19 전후로 호황과 불황의 극명한 대비를 겪고 있는 반도체 업종의 얘기다. 2019~2022년 지난 4년간 코스닥 시장에서 반도체 업종은 어떤 변화를 마주했을까.

2022년 반도체 산업은 한마디로 고군분투의 장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폭발적으로 늘어난 반도체 칩 수요가 엔데믹(endemic풍토병) 국면에선 ‘과잉 재고’란 부메랑으로 돌아오면서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은 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그나마 다행인 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넓혀 보면 체면치레는 했다는 점이다. 반도체산업협회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자료를 종합하면, 지난해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17.7%로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의 주력 분야인 메모리반도체 부분에선 60.5%의 점유율 기록하며 시장지배력을 유지했다. 

그래서일까. 2019년 코로나19 출현→2020 ~2021년 코로나19 특수→2022년 엔데믹 불황으로 이어지는 4년간 K-반도체 기업들은 되레 세를 불렸다.

통계를 살펴보자. 2019년 코스닥 3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반도체 기업은 34곳이었는데, 도합 1만6744명이었던 이들 기업의 임직원 수는 2022년 2만768명으로 24%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 연봉은 5788만원(2019년)에서 6371만원(2022년)으로 10% 늘어났다. 

반도체 업종 중에서도 지난 4년 동안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분야는 반도체장비업이었다. 34개 기업 중 2019년 대비 2022년 평균 연봉이 오른 회사는 26곳이었는데, 이중 10개사가 반도체장비 제조업체였다. 이들 기업의 4년간 평균 연봉 상승률은 12.9%로 반도체 업종 평균치(10%)를 뛰어넘었다. 

한국기계연구원의 리포트(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에 따르면 반도체장비 시장은 2019~2021년 3년 연속 성장했다. 반도체 수요 증가로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대폭 늘리면서 반도체장비 업계도 호황을 누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 시기에 이뤄진 시장 확대가 장비 제조업체들엔 몸집을 불리는 기회가 된 셈이다.

다만, 지난해부터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세로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반도체장비업의 기세도 한풀 꺾인 모양새다. 스마트폰ㆍPC 시장의 수요가 감소하고 반도체 칩 주문이 줄어들면서 설비투자도 정체기에 들어선 탓이다.


일례로 반도체장비 제조업체 중 코로나19 전후로 가장 높은 연봉 상승률을 기록했던 리노공업(2019년 6469만원→2022년 8654만원ㆍ33.8%)의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 54% 감소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업종의 관건은 반도체장비 부문의 업황이 개선될 수 있느냐다. 현재로선 전망이 밝지 않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반도체장비 업계가 올해도 전자기기 재고 증가→반도체 수요 위축이란 악순환의 사이클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글로벌 반도체장비 투자액도 지난해 980억 달러(약 125조원)에서 22.4% 쪼그라든 760억 달러(약 97조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