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전 성향 살펴야 하는 이유
도시 편하면 귀농 택할 필요 없어
어디서 은퇴생활 즐길지 정해야

필자는 앞선 편지에서 은퇴 후 시골살이를 막는 요인 중 하나인 배우자의 반대를 극복하는 법을 얘기했습니다. 사실 이보다 앞서 파악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시골살이를 꿈꾸는 나 자신이 시골살이에 맞는 성향을 가졌느냐입니다. 막연한 꿈으로 도전하기엔 시골살이의 어려움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인 상황으로 시골살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누구나 꿈꾸지만 아무나 할 수는 없는 것이 시골살이라는 얘기입니다.

많은 사람이 은퇴 후 시골살이를 꿈꾼다. 하지만 모두가 시골살이에 적합한 성향을 가진 것은 아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많은 사람이 은퇴 후 시골살이를 꿈꾼다. 하지만 모두가 시골살이에 적합한 성향을 가진 것은 아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귀농·귀촌과 은퇴는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이 은퇴 후 각박한 도시를 탈출하길 바랍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0년 농업·농촌 국민의식조사’ 보고서를 살펴보시죠. 농경연은 지난해 12월 도시에서 거주하는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은퇴 후 여건이 될 때 귀농·귀촌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그 결과, 41.3%가 ‘귀농·귀촌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2019년 34.6% 대비 6.7%포인트 높아진 수치입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60대 59.4%) 귀촌·귀농을 하고 싶다는 의견은 높게 나타났습니다.

귀촌·귀농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가 43.2%로 가장 많았습니다. 도시인 10명 중 4명은 ‘나는 자연인이다’를 꿈꾸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 강해졌습니다. 앞서 언급한 조사보다 앞선 시점인 지난해 4월 농경연이 실시한 설문조사(성인 1011명)에서 전체의 20.3%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귀농·귀촌 의향이 강해졌다’고 답했습니다. ‘귀농·귀촌 의향이 약해졌다’는 답변은 8.2%에 불과했습니다.

이 결과를 분석한 농경연은 “코로나19 사태로 도시 생활의 위험성과 경제적 어려움 등이 귀농·귀촌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귀농·귀촌 수요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부쩍 늘었다는 겁니다.

문제는 귀농·귀촌이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충남 청양군에 있는 필자의 세컨드 하우스를 방문한 지인 박명훈(가명·61세)의 이야기입니다. 박씨는 은퇴를 계획하면서 귀농·귀촌을 경험해 보겠다는 생각에 필자의 시골집을 방문했습니다. 필자는 이 친구를 지켜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본인이 시골생활을 간절히 원해도 환경과 개인 성향이 시골살이를 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박씨는 2가지 측면에서 시골살이가 불가능했습니다. 첫째 이유는 그가 앓고 있는 지병입니다. 심근경색으로 고생하고 있는 박씨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다녀야 합니다. 하지만 여느 시골이 그렇듯 그가 방문할 수 있는 의료시설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골에서 살고 있는 지역 주민도 겪고 있는 어려움입니다. 더구나 대중교통도 불편합니다. 어렵게 시간을 맞춰 병원에 다녀오려면 하루를 다 써야 할 정도로 병원이 멀리 있는 경우가 숱합니다. 은퇴 후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 시골을 찾는 이들이 많긴 하지만 정작 건강 때문에 이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시골살이 막는 현실적인 문제

둘째 이유는 그의 성향이 모든 걸 직접 해결해야 하는 시골살이와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도시 생활은 아파트 문화와 가족시스템을 통해 이뤄집니다. 가족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에 속한 삶을 삽니다. 도움을 청할 곳도 많습니다.

일례로 집을 수리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때 전문가를 부르면 몇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골살이를 위해서는 이 모든 걸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몸을 움직이는 걸 습관화해야 하죠. 차를 타는 것보다는 걷는 것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시골살이는 생각보다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사진=뉴시스] 
시골살이는 생각보다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사진=뉴시스] 

먹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도시에선 배달 음식이 흔하지만 시골은 그렇지 않습니다. 작은 텃밭을 가꾸는 것도 스스로 해야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박씨는 이런 면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래서 필자는 그에게 시골에 살 수 있을지를 진지하게 고민해보라고 권했습니다.

박씨에게 시골살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행복한 은퇴가 아닐 것 같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박씨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은퇴 후 도시에서 살지 귀농을 택할지는 개인이 처한 상황과 성향을 따져 본 후 결정해야 합니다. 편의시설과 대중교통 등의 편리함을 포기하기 싫은 사람은 도시 중심의 은퇴계획을 세우는 게 맞습니다.


혹자는 ‘살다 보면 괜찮아지지 않겠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여유롭고 행복해야 할 은퇴생활을 두고 무모한 도박을 해선 안 됩니다. 도시와 아파트, 마트와 병원, 문화시설 등의 혜택에 만족했던 사람이라면 굳이 위험요인을 안고 시골행을 택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특히 도시생활에 별문제가 없었던 사람들은 시골살이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그렇다고 다른 선택지가 없는 건 아닙니다. 모두가 꿈꾸는 정답일 수 있는 도시와 시골살이의 중간 형태를 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주일 중 3~4일 길게는 5일은 도시에서 보내고 주말에는 시골로 내려가 휴식을 취하는 삶의 방식입니다. 오도이촌五都二村이나 사도삼촌四都三村이 대표적 입니다. 필자도 이런 방식이 가장 무난한 형태의 시골살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도시와 시골의 두집 살림을 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경제적인 부담도 큽니다. 도시와 시골 두곳에 살 집을 장만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배우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가 아니라면 스트레스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골살이를 하고 싶다면 그 시작은 이렇게 하는 게 맞습니다.

시골살이와 맞는지 살펴야


충분한 경험을 통해 자기를 확실하게 검증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30년의 생활에 익숙한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

누구든지 마음만 먹으면 시골살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대안이고, 행복한 은퇴생활을 위한 조건은 아닙니다. 은퇴 후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가 어디서 누구와 함께 무슨 일을 하면서 하루를 보내는 게 가장 행복한 은퇴생활일까’란 질문의 답을 찾는 것입니다.

그래서 필자는 묻습니다. “당신의 행복한 은퇴생활이 이뤄질 주요 무대는 어느 곳이라고 생각합니까?” 이 물음의 답을 찾는 것이 행복한 은퇴생활의 첫 단계입니다.

글 = 
조경만 금융컨설턴트(엉클조 대표)
iunclejo@naver.com

정리 =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