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마켓톡톡
2월 물가 3.1%로 재상승
전체 물가 G7 수준이지만
식품 인플레 OECD 평균치
글로벌 유가‧물류비 상승세
OECD “수입물가 5% 상승” 경고
우리 정부 낙관적 경제전망 유지

2월 과일 물가가 41.2% 급등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과일 코너. [사진=뉴시스]
2월 과일 물가가 41.2% 급등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과일 코너. [사진=뉴시스]

식품발 인플레가 2월 우리나라 물가를 다시 끌어올렸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G7 수준으로 안정적이었지만, OECD 평균에 불과한 식품 물가가 복병으로 작용했다. 지난 2월 OECD가 홍해 문제로 수입 물가 급등을 경고했지만, 우리 정부가 낙관적 물가‧성장률 전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책을 세우지 않은 것도 한몫했다. 

2월 물가가 다시 상승하면서 한국 경제에 다시 경고등이 켜졌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로 1년 전보다 3.1% 상승했다.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6월 2%대에 진입했지만, 다시 상승하면서 10월 3.8%까지 치솟았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1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해 지난 1월 2.8%로 내려왔다. 

■ 식품 인플레의 덫=소비자물가지수를 끌어올린 변수는 무엇일까. 가장 큰 원인은 식품 가격이다. 채소·과일·해산물 등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한 2월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6.1%, 전년 대비 20.0% 급등했다. 신선과실은 지난 1월에도 1년 전보다 28.5% 상승하더니 2월에는 41.2%나 치솟았다. 

구입 빈도가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를 보면 식품 인플레를 체감할 수 있다. 2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3.7%였지만, 식품 84개 품목 가격은 1년 전보다 5.4% 올랐다. 식품 이외의 생필품 60개 가격은 2.6% 상승에 그쳤다. 이밖에도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1년 전보다 4.9% 올라가 평균을 웃돌았다. 

결국 식품 인플레가 문제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지난 2월 발표한 세계 소비자물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11‧12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각각 3.3%, 3.2%로 OECD 회원국 평균인 5.8%(11월), 6.0%(12월)보다 크게 낮았다. 한국 물가 상승률은 G7 국가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지난해 11‧12월 식품 인플레이션은 각각 6.5%, 6.2%로 G7 국가 평균인 3.9%, 3.4%를 크게 웃돌았다. 

■ 해결 기미 없는 물가 리스크=우리는 사실상 육로 수입이 불가능한 구조다. 식품 인플레를 최소화하려면 수입 지역의 선택도 중요하다. 물류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의 농축수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5%, 수입량은 1.7%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2022년 최대 식품 수입 증가국은 아르헨티나로 금액 기준으로 1년 전보다 금액 기준 46.8%, 물량 기준 22.3% 증가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러시아 수입량은 정체 상태다. 우리가 2022년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식품 물량은 전년보다 1.5% 늘어났다. 러시아에서 수입한 식품 물량은 2017~2022년 5년간 2.5% 증가에 그쳤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이후 홍해에서 후티 반군이 수에즈 운하를 통한 해상운송을 방해하면서 세계 물류비는 폭증하고 있다. 미군이 지난 2월 대대적인 공습에 나섰지만, 진압에 실패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법인 언스트앤영(Ernst & Young) 컨설팅 부문은 최근 ‘홍해 위기가 인플레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세계 무역량의 15%를 차지하는 수에즈 운하에서 분쟁이 지속하면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은 다시 높아진다”며 “현재 물류비가 1년 동안 지속되면 세계 물가 상승률은 최대 0.7%포인트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11월 24일 993달러21센트(20ft 컨테이너당)였는데, 1일 현재 1979달러12센트로 두배 이상 상승했다. 발틱운임지수(BDI)도 지난 2월 1일 1388달러에서 4일 현재 2297달러로 폭등했다. 

산유국들의 장관급 모임인 OPEC+가 지난 4일 2분기까지 감산을 유지하겠다고 결정한 이후 유가도 다시 들썩이고 있다. 석유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3월 들어서 벌써 두 차례 배럴당 80달러를 넘겼다. 

■ 정부의 인플레 방심=클레어 롬바델리 OECD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월 5일 CNBC와 인터뷰에서 “홍해 문제로 해상 운임이 100% 오르면, 38개 회원국들의 수입 물가 상승률은 5%포인트 증가할 것”이라며 “OECD가 2월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0.4%포인트를 추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OECD가 물가 전망 수정 가능성을 경고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우리 정부는 장밋빛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전망이 낙관적인데, 물가 대책을 세울 필요도 없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내수 증가세 둔화를 반영해 기존보다 낮은 2.5%로,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2%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도 지난 2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상반기 물가 상승률은 2.9%로,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2%로 전망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월 4일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상반기 2%대 물가 조기 안착에 역점을 두겠다” 고 말했다. 

한정연 더스쿠프 기자
jayhan0903@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