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s infographic
인포그래픽으로 본 세상
기후위기 쉽게 읽기
과학이 경고하는 1.5도
얼마나 커다란 수치일까
빙하기와 차이는 고작 6도
바닷물 온도 1도 올리려면

기후위기의 피해를 막기 위해선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섭씨 1.5도 내로 억제해야 한다.[사진=뉴시스]
기후위기의 피해를 막기 위해선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섭씨 1.5도 내로 억제해야 한다.[사진=뉴시스]

섭씨 1.5도. 기후위기로 인한 인간의 피해를 막기 위한 ‘최소 요건’으로 자주 등장하는 수치다. 1.5도는 비굣값이다. 화석 연료를 본격 사용하기 전의 지구 평균 온도보다 1.5도 이상 높아지면 위험하다는 거다(표➊).

2018년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ㆍ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총회에서 발표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의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SPM)’을 보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평균 온도가 1.5도 상승할 경우 100년에 1번 빈도로 북극해 해빙이 여름철에 모두 녹아 사라진다. 북극해의 얼음이 녹을 정도라면 육지 빙하도 모두 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한다.

9억5000만명의 인구는 물부족에 시달리고 전체 인구의 24%는 홍수 피해를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지점에서 누군가는 ‘1.5도를 낮추는 게 뭐 그리 어려운 일이냐’고 물을지 모른다. 하지만 1.5도는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우리가 느끼는 기온은 ‘공기 중 온도’를 의미한다. 지구 평균 온도는 표면 온도라서 육지와 바다의 온도를 모두 일컫는다. 공기 중에서 1도가 오를 때 필요한 에너지(공기 비열 1.01J/g.K)보다 물이 1도 오를 때 필요한 에너지(물 비열 4.2J/g.K)가 4배가량 더 크다(표➋). 이 때문에 바다까지 포함한 지구의 온도는 조금만 변해도 큰 파장을 일으킨다.

실례를 살펴보자. 빙하기와 간빙기의 평균 기온차는 5도에 불과하다.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어졌던 소빙기小氷期(Little Ice Age)의 지구 평균 온도는 지금보다 고작 2도 낮은 수준이었지만 이탈리아 피렌체의 아르노강을 얼려버리기도 했다.

문제는 1.5도를 유지하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란 점이다. 바닷물 온도는 이미 산업화 시기 이전보다 1도 가까이 올랐다. 이는 히로시마에 떨어진 핵폭탄 2800만개가 바다에서 동시에 폭발한 수준이다(국종성 포항공대 교수). 이 온도를 낮추려면 해수온도가 올라갈 때 투입된 만큼의 에너지를 빼앗으면 된다.

그럼 해수온도를 제자리로 돌려놓으려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빼앗아야 할까. 이를 핵폭탄이 아닌 에어컨으로 계산해 보자. 바다에서 터진 ‘2800만개의 핵폭탄(해수온도 1도 상승)’을 에너지양으로 환산하면 3.39332e+23J(줄)이다.


반면, 소비 전력이 1800W(와트)인 에어컨을 24시간 켜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은 43.2㎾h(킬로와트시)다. 에어컨으로 해수온도 1도를 끌어내리는 데 필요한 3.39332e+23J(줄)을 충족하려면, 24시간 내내 9억4200만대의 에어컨을 켜둬야 한다.

단순계산이기 때문에 오차가 있겠지만, 지구 온도를 낮추는 게 그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주기엔 충분해 보인다(표➍). 올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우린 ‘1.5도의 법칙’을 지켜낼 수 있을까.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