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컴퍼니 인사이트
3600만 이용자 모은 당근
흑자 전환 가능성 높아져
자영업자 대상 광고 전략 덕분
제주선 중고거래 광고 테스트
수익성 좇는 당근 비판 여론도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시작한 ‘당근(옛 당근마켓)’은 지난해 8월 서비스명에서 ‘마켓’을 뗐다. “지역생활 플랫폼으로 거듭난다”는 포부에서였다. 당근의 계획이 적중한 걸까. 적자가 누적돼온 당근이 흑자 전환에 한발짝 다가섰다는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하지만 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돈벌이’에 치중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새어나온다.

당근은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왔다.[사진=뉴시스]
당근은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왔다.[사진=뉴시스]

취업 빙하기에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이 공개채용에 나섰다. 그동안 수시채용을 진행해온 당근은 오는 7일까지 전 직군 대규모 공개채용을 실시한다. 채용보다 희망퇴직 뉴스가 더 많이 들려오는 시절이란 걸 감안하면 눈에 띄는 행보다. 당근 관계자는 “사업을 확장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 인력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근이 취업 빙하기를 뚫고 신규 인력을 충원할 수 있는 배경은 ‘실적’에 있다. 업계 안팎에선 적자의 늪에 빠져 있던 당근이 2023년에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15년 중고거래 서비스를 론칭한 당근은 엄청난 가입자(누적 3600만명)를 끌어모았지만 최근까지 수익성이란 과제는 풀지 못하고 있었다. 2020년 133억원이던 영업적자는 2022년 564억원으로 3배가량 더 쌓였다. 

이런 당근을 두고 ‘흑자전환’ 가능성이 거론되는 건 ‘광고 사업’ 매출의 증가세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고거래로는 수익을 내지 않겠다”는 기조를 밝혀온 당근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역광고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중고거래 게시글 사이에 광고를 노출하는 ‘피드광고’와 키워드 검색시 광고를 노출하는 ‘검색광고’ 등 두 종류다. 

당근은 두 광고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왔다. 2022년 2월 광고 과금방식을 ‘노출 횟수’에서 ‘클릭당 과금’으로 변경한 건 대표적 사례다. 클릭당 과금은 고객이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소상공인이 지불한 광고캐시 중 최소 100원을 차감하는 방식이다. 광고를 원하는 소상공인은 원하는 만큼 ‘광고캐시’를 충전한 후 이용할 수 있는데, 피드광고의 방식은 캐시를 많이 낼수록 더 많이 노출하는 것이다. 

더 많은 홍보를 원하는 소상공인이 ‘광고캐시’를 더 많이 지불했기 때문인지 당근이 클릭당 과금 방식을 도입한 2022년 광고 매출액은 495억원으로 2020년(117억원) 대비 323.1% 증가했다. 지난해 당근에 입점한 가게 수가 85만개로 전년 대비 37%가량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근의 광고 매출액은 더 늘었을 공산이 크다. 

여세를 몰아 당근은 중고거래 이용자를 타깃으로 삼은 ‘광고 상품’도 테스트하고 있다. 2023년 4월 제주지역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 ‘이웃광고’다. 이는 3만원 이상 중고물품을 판매하는 이용자가 3000~2만5000 원을 결제하면 금액에 따라 게시글 노출 횟수를 늘려주는 방식이다. 당초 3000원이던 이용 금액을 지난해 12월부터 2만5000원까지 확대했다. 

당근은 2023년 4월부터 제주지역에서 중고거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웃광고’를 테스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당근은 2023년 4월부터 제주지역에서 중고거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웃광고’를 테스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문제는 당근이 적자를 탈피하기 위해 ‘돈벌이’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는 점이다. 당근의 흑자전환을 견인하고 있는 광고 사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소상공인을 ‘수익원’으로 삼았다는 비판에 직면할 공산이 크다.

실제로 당근이 광고사업을 론칭할 때 비슷한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중고거래 이용자를 대상으로 준비 중인 ‘이웃광고’ 역시 약점이 있다. “중고거래로는 돈을 벌지 않겠다”는 당근의 기조와 180도 다른 전략이어서다. 

안승호 숭실대(경영학) 교수는 “적자에서 탈출해야 하는 당근으로선 수익화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중고거래는 불황형 사업인 만큼 이용자에게 광고비를 받는 모델을 확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당근 관계자는 “중고거래에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이웃광고는 이용자가 원할 경우 선택할 수 있는 개인 광고”라고 설명했다. 과연 당근은 논란을 잠재우고 이용자와 수익성을 모두 잡을 수 있을까.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