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IT 언더라인
2분기 연속 적자 낸 CJ ENM
OTT 플랫폼 티빙 손실 영향 커
BM 다각화 약속했지만…
광고요금제 사실상 유일한 카드
고가요금제 회원 이탈 부채질 우려

토종 OTT 플랫폼 티빙이 수익 모델 다각화를 선언했다. 업계에선 하반기쯤 티빙이 광고요금제를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티빙 입장에선 넘어야 할 벽인 넷플릭스가 광고요금제로 쏠쏠한 실적을 거뒀기 때문인데, 광고요금제가 꼭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리란 법은 없다.

티빙이 하반기 중 요금제 구조에 변화를 줄 계획이다.[사진=뉴시스]
티빙이 하반기 중 요금제 구조에 변화를 줄 계획이다.[사진=뉴시스]

CJ ENM이 2분기 연속 적자 성적표를 발표했다. 올 2분기 이 회사 매출은 1조489억원, 영업손실은 304억원이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0% 줄었다. 전년 2분기엔 흑자였던 영업이익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직전 분기 손실(503억원)보다 적자폭을 줄인 게 그나마 위안이었지만, 상반기 누적적자가 800억원을 넘으면서 ‘연간 적자’ 위기를 면하기 어려울 듯하다. 

CJ ENM이 하반기 경영전략에서 수익성 개선을 강조한 건 그래서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티빙의 ‘비즈니스 모델(BM) 다각화’다. 자사 OTT 플랫폼인 티빙의 수익모델을 바꾸겠다는 얘기다. CJ ENM은 2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에서 “티빙의 수익 모델을 다변화하면서 추가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티빙은 2020년 10월 CJ ENM에서 분리한 뒤 단 한번도 흑자 성적표를 내지 못했다. 지난해엔 1191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올 1분기엔 386억원의 순손실을 냈고, 2분기 적자도 479억원에 달했다. “올 1분기 기준으로 티빙 유료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69.2%나 증가했다”는 CJ ENM의 자랑이 무색하게 티빙은 적자만 쌓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CJ ENM은 티빙을 살려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까. 일단 카드가 많지 않다. 구독형 OTT의 수익 대부분은 이용자가 매달 내는 요금제에서 나온다. 이를 고려하면 수익 모델 다각화는 곧 ‘요금제의 다양화’다. CJ ENM의 구체적인 설명을 들어보자. “일반 구독 모델 외에 광고 모델 확대나 가격대를 다양화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 설명을 토대로 티빙이 하반기쯤 ‘광고요금제’를 새롭게 도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광고요금제는 일반 요금제보다 가격이 저렴한 대신, 콘텐츠를 시청할 때마다 광고를 봐야 한다. 플랫폼 입장에선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요금제를 내세워 가입자를 늘리고, 콘텐츠에 넣는 광고료를 통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광고요금제가 돈이 된다는 건 넷플릭스가 증명했다. 2022년 11월 광고요금제를 도입한 넷플릭스는 올 1분기에 신규 가입자를 175만명 유치했고, 2분기엔 589만명을 더 늘렸다.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나은 수치를 발표했다. 넷플릭스의 광고요금제 가입자는 500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티빙이 넷플릭스처럼 ‘가입자 수 증가’와 ‘수익성 개선’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으리란 보장은 없다. 높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광고요금제로 낮출 경우 가입자당 매출이 되레 감소할 수 있다. 

경기 침체 위기와 인플레이션 문제로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이 성장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점도 문제다. 광고주들의 호응이 예상보다 뜨겁지 않으면 광고로 얻는 추가 수익도 신통치 않을 수 있다. 광고 노출이 고객의 시청 경험을 방해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 때문에 ‘CJ ENM이 전략적 방향을 잘못 세웠다’는 비판도 나온다. 사실 티빙이 침체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덴 한국 OTT 시장 점유율 1위 넷플릭스의 벽을 넘지 못한 탓이 크다.

넷플릭스와 경쟁에서 우위에서 서려면 매력적인 콘텐츠를 수급해야 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콘텐츠를 추가하면 할수록 영업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CJ ENM이 ‘콘텐츠 딜레마’를 무시한 채 광고요금제를 통한 ‘수익성 개선’을 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해 11월 광고요금제를 도입한 넷플릭스가 호실적을 달성했다.[사진=뉴시스]
지난해 11월 광고요금제를 도입한 넷플릭스가 호실적을 달성했다.[사진=뉴시스]

따지고 보면 넷플릭스가 한국 이용자 지표에서 티빙을 압도하는 건 광고요금제를 선제적으로 도입했기 때문이 아니다. 고객에게 큰 파급력과 영향력을 갖춘 콘텐츠를 지속해서 보여준 덕분이다. 

OTT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의 경우 광고 수요가 시장의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고, 광고주가 글로벌 넘버원 플랫폼이란 타이틀에 몰리면서 광고요금제를 도입하면 득보단 실이 많을 것이란 우려를 상쇄했다”면서 “플랫폼 영향력과 경쟁력이 넷플릭스와 견줘 상대적으로 낮은 티빙이 그렇게 할 수 있을 거라고 낙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티빙의 경우 수익이 좁은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해외시장으로 발을 뻗는 전략이 더 시급해 보인다”고 꼬집었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